'양복 차림' 김정은, 텐안먼 '中열병식' 행사장 딸 없이 입장
'열병식 참석' 김정은, 베이징 도착…양복차림에 딸 주애도 동행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린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주석단에 서면서, 1959년 이후 66년 만에 북중러 3국 정상의 회동이 이루어졌다. 이번 회동은 탈냉전 이후 처음으로, 미국 주도 국제질서에 대항하는 공동전선을 대내외에 각인시키는 상징적 장면이다. 중국은 이번 열병식에서 극초음속 미사일 등 최신 전략무기를 공개하며 군사적 자신감을 드러냈고, 북한과 러시아는 이에 동조하며 반미 연대의 한 축임을 분명히 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에는 딸 김주애가 동행해 후계 구도를 공식화하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김주애는 베이징 도착 현장에서 포착되었으나 본행사인 열병식에는 불참했다. 전문가들은 국제적 이목이 집중되는 다자외교 무대에 후계자를 동행시킨 것 자체가 사실상의 '후계자 신고식'이라고 분석한다. 이는 과거 김정일과 김정은이 후계자 시절 각각 김일성과 김정일을 비공식 수행하며 국제 감각을 익혔던 전례를 따른 것이다. 이번 방문을 통해 북한은 4대 세습의 정당성을 중국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인정받고, 이를 국제사회에 기정사실로 만들려는 전략적 계산을 한 것으로 보인다.
열병식 참석을 계기로 김 위원장은 시 주석 및 푸틴 대통령과 각각 양자 회담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3자 정상회담의 공식 개최 가능성은 낮게 점쳐지지만, 실질적으로는 3국 간 전략적 소통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북한은 러시아에 대한 재래식 무기 지원의 대가로 식량과 에너지, 군사 기술 이전을 확보하고, 최대 교역국인 중국으로부터는 경제적 지원과 제재 완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러시아 역시 북한을 지렛대로 활용해 동북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대미 경쟁에서 전략적 자산으로 삼으려는 이해관계가 일치한다.
북중러 3국의 급격한 밀착은 한미일 안보 협력을 외교의 중심으로 삼아온 이재명 정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의 비호 아래 핵보유국 지위를 공고히 하며 대남 압박 수위를 높일 경우, 정부가 꺼내 들 수 있는 카드는 마땅치 않다. 북한은 최근 김여정 담화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대화 제의에 "흥미가 없다"며 선을 그은 바 있다. 북중러 연대가 강화될수록 동북아 정세는 신냉전 구도로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미중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이재-명 정부의 '실용 외교' 노선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구조적 도전이 될 것이다.
윤갑희 기자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에 3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이텅이 할 수 있는 건 오로지 자신의 범죄 혐의를 없애기 위해 발악하는 것뿐?
좋은 말이지 실용외교. 좋은 말도 행동도 누가 하느냐에 다르지
뭐하나 제대로 하는게 없는 정부라.. 그저.. 숨만 쉬고 있었으면 싶기도 합니다. 나대지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