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특검, '尹부부 공천개입 공범' 의혹 윤상현 의원 소환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른바 '내란·김건희·순직해병' 3대 특검이 전방위적인 수사망을 펼치면서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등 보수 야권 전체가 그야말로 초토화되는 모양새다.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과 소환 조사가 쉴 틈 없이 이어지며 수사의 칼끝이 야권의 심장부를 겨누고 있지만, 정작 이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하고만 있다. 리더십 부재와 해묵은 계파 갈등까지 터져 나오며 자중지란에 빠져있다.
특검의 수사 속도는 가히 전광석화와 같다.
김건희 특검은 2022년 지방선거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해 당시 당대표였던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 밖에도 권성동·김선교 의원이 김건희 특검에 의해, 임종득·이철규 의원이 순직해병 특검에 의해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현역 의원만 벌써 5명이 수사선상에 올랐다.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르자 정치권에서는 내란 특검이 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한 국민의힘 의원 전원을 수사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VIP 격노설'의 핵심 증거인 통화 기록에 등장하는 주진우 의원 역시 순직해병 특검의 수사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야권을 향한 거대한 파도가 덮치고 있지만,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구명보트 하나 띄우지 못하고 허우적대는 꼴이다. 특검 수사에 대응하기 위해 '특검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꾸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정작 TF를 이끌 위원장을 맡을 만한 중진 의원들이 줄줄이 수사 대상에 오르는 코미디 같은 상황이 벌어지면서 인선조차 못 하고 있다. 한 원내 관계자는 "위원장을 할 만한 분들이 다 수사받는 상황이라 구성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며 "현재는 여론에 호소하는 것 외에는 대응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런 무기력증의 근본 원인은 당을 수렁으로 몰고 가는 고질적인 내홍에 있다. 당장 8월 22일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 주자들 간의 신경전이 극에 달하면서 당내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것조차 불가능한 상태다. 관리형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는 사실상 식물 지도부로 전락해 뚜렷한 투쟁 방향조차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틈을 타 더불어민주당은 연일 맹공을 퍼부으며 국민의힘의 상처에 소금을 뿌리고 있다. 민주당은 '내란범 배출 정당 국고보조금 삭감', '국회에 의한 위헌 정당 해산 심판 청구' 등 국민의힘을 직접 겨냥한 법안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는 자신들의 지지층을 결집하는 동시에, 국민의힘을 '범죄 집단'으로 낙인찍으려는 다분히 정치적인 공세로 풀이된다.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 등 당내 현안에서 시선을 돌리려는 계산된 '정국 흔들기'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한때 보수 진영의 동지였던 개혁신당과의 '투쟁 연대'도 물 건너간 지 오래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이준석 대표에 대한 압수수색을 두고 "국민과 함께 분노한다"며 손을 내미는 듯한 제스처를 취했지만,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는 "관심을 꺼달라"고 일축하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천 원내대표는 "우리는 김건희 특검과 관련해 국민의힘과 입장이 완전히 다르다"고 선을 그으며 양측의 깊은 불신과 입장 차이를 명확히 했다.
결국 국민의힘은 새로운 지도부가 선출되는 8·22 전당대회 이후에나 제대로 된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당 핵심 관계자는 "전당대회가 끝나고 새로운 지도부가 출범해야 특검 대응 TF 구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때까지 특검의 칼날이 어디까지 파고들지, 당이 과연 온전히 버텨낼 수 있을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안갯속 정국이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