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기 특별검사가 자신이 수사하던 김건희 여사와 동일한 종목의 주식 거래로 억대 시세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에 휩싸이며 사면초가에 몰렸다. 보수 언론의 파상공세는 물론, 그간 특검에 우호적인 논조를 보이던 언론들마저 비판적인 보도를 쏟아내면서 민 특검의 입지는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특별수사검사에서 수사대상이 될 수 있는 상황에 처한 민중기 특검 (사진=연합뉴스)
의혹이 제기되자마자 보수 진영은 총공세에 나섰다. 특히 조선일보는 민 특검을 '내로남불'과 '위선'의 상징으로 규정하며 맹폭을 가했다.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의 논평을 인용해 "특검과 특검 수사 대상자가 같은 의혹을 받는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남의 주식 거래를 캐묻던 그 손으로, 정작 본인은 같은 종목에서 시세차익을 챙겼다니 이미 특검 자격을 잃었다"고 직격했다.
조선일보는 민 특검이 부장판사 시절 비상장 주식을 보유했다가 상장폐지 직전에 모두 팔아 1억 6,000만 원에 가까운 수익을 거둔 점을 지적하며, "더 경악스러운 것은 이 종목이 바로 민중기 특검이 김건희 여사 수사 과정에서 그토록 문제 삼았던 네오세미테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민 특검이 자신의 과거 행적은 덮어둔 채 동일한 사안으로 타인을 수사하는 '위선의 끝판왕'이라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보수 언론의 공세에 이어, 그동안 민 특검의 수사에 힘을 실어주던 진보 성향 언론들도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논조와 프레임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의혹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특검의 신뢰도 위기를 조명하는 데에는 이견이 없었다.
한겨레는 "강압 수사에 주식 내부 거래 의혹까지…민중기 특검 '휘청'"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번 사태를 특검팀이 직면한 총체적 위기로 규정했다. 한겨레는 민 특검이 고교·대학 동문이 대표로 있던 회사의 주식을 상장폐지 직전에 팔아 거액의 수익을 본 사실을 상세히 보도하며,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지 않으면 수사 동력도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지적했다. 특히 특검팀이 김 여사를 수사하며 네오세미테크가 "주식을 잘 모르는 투자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종목"이라고 규정했던 사실을 상기시키며, 민 특검의 투자 행위가 가진 모순을 부각했다.
오마이뉴스는 사안의 '아이러니'를 정면으로 겨냥했다. "[오마이팩트] 특검과 수사 대상자가 같은 의혹" 이라는 기사에서 "특검과 그 특검의 수사 대상자가 같은 의혹을 받는 이례적 일이 벌어진 것"이라고 꼬집었다. 수사의 주체와 대상이 동일한 혐의를 받는 전례 없는 상황 자체를 부각하며, 민 특검이 처한 도덕적 딜레마와 '내로남불' 비판을 피해 가기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MBC 역시 의혹을 비중 있게 다뤘다. "민중기 특검, '미공개정보 주식거래 의혹'에 '증권사 권유로 매도'" 라는 헤드라인으로 의혹의 핵심과 특검 측의 해명을 나란히 배치했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중립적인 보도 형태를 취하지만, '증권사 권유'라는 해명만으로는 상장폐지 직전이라는 절묘한 매도 시점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MBC는 특검이 김 여사 조사 당시 네오세미테크 투자 사실을 언급하며 압박했던 사실을 보도하며, 이번 의혹이 가진 자승자박의 성격을 드러냈다.
이처럼 진영을 가리지 않는 언론의 맹폭 속에서 민중기 특검은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증권사 직원의 권유'라는 해명은 여론을 설득하지 못하고 있으며 1, 수사를 이끌어야 할 특검의 도덕성과 공정성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었다. 정치적 공세를 넘어 우호적이던 여론마저 등을 돌리는 상황에서, 민 특검이 과연 수사를 계속 지휘할 동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남훈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