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이재명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대미(對美) 외교가 코미디로 전락하고 있다. 외교의 기본인 시간과 장소의 원칙을 송두리째 뒤집었으니, 제대로 된 결과가 나올 리 만무하다. 미국 땅에 가서는 온갖 것을 다 내줄 듯 굴종에 가까운 자세를 취하더니, 정작 안방에 돌아와서는 목소리를 높인다. 시중에선 이런 행태를 두고 ‘방구석 여포’라는 말이 나온다.
외교의 본질은 국익을 걸고 싸우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대통령을 보라. 그는 조국이 위기에 처하자 백악관을 찾아가 언성을 높여가며 지원을 압박했다. 외교적 결례를 따질 때가 아니었다. 그의 메시지는 안과 밖이 똑같았고, 목표는 오직 ‘국익’ 하나였다. 그렇게 그는 미국과 세계의 지원을 얻어냈다. 그것이 리더의 외교다.
이 대통령은 어땠는가. 트럼프 대통령 앞에서 보인 모습은 전 세계 언론이 비웃을 만큼 아부에 가까웠다. 3500억 달러 협상안을 덜컥 수용하고, 1500억 달러 기업 투자에 보잉기 100대, 알래스카산 에너지 1000억 달러어치 구매 약속까지 얹어줬다. 그래 놓고 합의문조차 없는 회담을 ‘서희의 담판’에 비유하며 자화자찬했다. 정작 싸워야 할 워싱턴에서는 침묵하고, 안전한 청와대에서 "서명 못 한다"고 외치는 게 정상적 외교인가. 75년 한미동맹에 대한 예의도 아니다.
시간의 순서 또한 엉망이다. “국익에 해로우니 서명 못 한다”거나 “감당할 수준은 연 200~300억 달러”라는 말은 협상 테이블에 앉기 전에 세웠어야 할 원칙이다. 모든 걸 내주겠다고 약속한 뒤에 와서 “사실은 돈이 없다”고 발뺌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상식이 아니다. 이런 식이면 앞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의 약속을 누가 믿겠는가. 국가 신뢰도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일이다.
결국 이 모든 촌극의 뿌리는 이 대통령의 리더십이 국익이 아닌, 국내 정치와 지지층을 향한 ‘쇼’에 맞춰져 있다는 데 있다. 트럼프 앞에서는 성과를 포장하고, 국내에서는 강단 있는 지도자로 보이고픈 욕심이 뒤섞여 나라의 체면을 깎고 있다. 그러나 외교는 국내 정치의 연장선이 아니다. 안에서만 용감한 ‘방구석 여포’ 리더십의 대가는 결국 국민이 치르게 될 것이다.

박주현 칼럼니스트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에 13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믿음이 가지 않은 기자회견
온 국민이 지 손바닥아래 있다고
착각하는 기자회견
방구석 여포 ㅋㅋ 동감합니다
맞습니다. 방구석 여포. 부끄러운 대통령.
저자의 버릇. 불리할 땐 숨고, 큰소리 낼 수 있을 땐 시간 순서 비틀어서 탈진실 만들어내죠. 사기꾼 재질이죠. 성남시장 때 경기도지사 때 당대표 때 대선후보 때 늘 봐왔던 패턴인데, 이게 국가 수준으로 확대되니 정말 큰일인 거죠.
test
평생이 찌질이…ㅉㅉ
서명 못한다 도 귀국해서 이리저리 눈치 보고 간보다가
조지아 사태 터지고 멀바꾸는게 유리하다 싶어 개딸 결집용 으로 나온거지요. 갖다 버려야 할 새퀴 ㅉ
부끄러운건 우리 몫이군요..2
부끄러운건 우리 몫이군요.
저걸 용산에 보낼게 아니라 관타나모로 보냈어야 하는데
개딸의 실수로 왜 기업과 전국민이 고통 받아야 하는가
위정자 입에 속고,
위정자에 휘둘리는 언론들 농간에 놀아나는
여린 국민에 통탄할 수밖에 없는 시국인 것 같습니다
숨이 턱턱 막힙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사기꾼 판별을 너무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사기 세계1위 국가다워요
다들 옥장판 하나쯤은 집에 있는 나라에서 범죄자가 대통령 자리 꿰차고 지지율 60% 나오는 거 하나도 이상하지 않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