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패배와 계엄 사태의 책임을 지고 석고대죄해도 모자랄 국민의힘 친윤(친윤석열)계가 당 쇄신의 마지막 기회마저 스스로 걷어차자, 이들을 떠받치던 보수 언론이 일제히 등을 돌렸다. 사설을 통해 ‘기득권에 눈먼 집단’으로 규정하고 사실상의 정치적 사망 선고를 내린 것이다. 지지율은 보수 텃밭에서조차 역대 최저 수준으로 곤두박질치고 특검의 칼날이 턱밑까지 들어왔지만, 친윤계는 여전히 기득권 사수에만 혈안이 된 모습이다.
<조선일보>는 8일 사설에서 안철수 혁신위원회의 좌초는 예견된 참사였다고 단언했다. 사설은 "안철수 혁신위의 좌초는 예정된 것이나 다름없었다"며 "계엄과 탄핵의 책임을 져야 할 구주류(친윤계)의 지원을 받은 원내대표가 선출됐고 이들을 중심으로 또 비대위를 구성했다. 책임지고 물러나야 할 세력이 자신들이 주도권을 놓지 않기 위해 다시 전면에 등장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혁신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상은 다음 총선에서 자신들의 공천권을 지키려는 ‘친윤 기득권 연대’의 민낯이 드러났다는 신랄한 비판이다. 사설은 결국 "국힘 의원 대다수는 정치를 하는 목적이 개인의 영달이다. 그렇기 때문에 결코 희생하지 않는다"고 진단하며, "이런 사람들을 계속 뽑아주는 유권자들이 변해야만 이들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유권자 심판을 직접적으로 촉구했다.
보수층의 민심 이반은 구체적인 수치로도 증명된다. 최신 여론조사(갤럽, 7월 1주차)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22%로, 45%를 기록한 더불어민주당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중앙일보> 사설이 지적했듯, 더욱 뼈아픈 대목은 "텃밭인 대구·경북에서조차 당 지지율이 30%대로 하락했다"는 점이다. 같은 지역에서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국정 운영 지지도가 50%를 넘었다"는 사실은 국민의힘이 자멸 상태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중앙일보는 "혁신위원장에게 당을 되살릴 전권을 줘도 모자랄 판에 여전히 친윤 구주류가 당을 좌우하는 국민의힘의 민낯이 또 드러난 것"이라며 "과거 ‘천막당사’처럼 당 해체 수준의 과감한 환골탈태를 해도 모자랄 판에 영남 기득권 세력의 저항이 완강하다"고 개탄했다.
이러한 국민의힘의 자중지란은 제1야당의 견제 기능을 마비시키며 이재명 정부에게는 예상치 못한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야당이 내부 권력 투쟁에만 함몰되면서, 민생 법안 처리나 정부 정책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대안 제시가 실종된 상태다. 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을 둘러싼 각종 의혹과 논란마저 야당의 무능과 무기력함 속에 묻히는 형국이다. 이는 국정 운영의 건강한 긴장감을 떨어뜨려 결국 그 피해가 국민에게 돌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다.
<동아일보>는 현재 국민의힘을 재앙적 수준으로 진단했다. 사설은 "지금 국민의힘은 수술 없이는 생명이 경각에 달렸다는 진단을 받아 놓고도 수술실에 들어가길 거부하는 ‘중환자’나 다름없다"고 비유했다. 특히 "친윤, 영남 일색의 지도부엔 당이 절망적인 처지라는 인식조차 보이지 않는다"며 "이들 머리엔 총선이 3년이나 남았고, 내 지역구는 안전하며, 새로운 지도부가 들어와 친윤체제를 흔들지 않으면 자신들은 괜찮다는 생각뿐인 듯하다"고 그들의 안일하고 이기적인 행태를 통렬하게 비판했다.
결국 보수 언론들이 내린 결론은 하나로 모인다. 국민의힘, 특히 친윤계는 자정 능력을 완전히 상실했으며, 오직 유권자의 심판이라는 외부 충격만이 유일한 해법이라는 것이다. 8월로 예정된 전당대회는 이들이 낡은 기득권과 결별하고 재탄생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하지만 이 기회마저 걷어찬다면, 보수 정당의 명맥 자체가 끊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그 어느 때보다 팽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