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북확성기 전격 철거
李정부 출범 두달된 날… 대북 확성기 전면 철거 (동아일보)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20/0003652362?date=20250805
대북확성기 철거 작업 중인 국군장병들. (사진: 연합뉴스)
군이 4일 최전방에 설치한 대북 확성기를 전면 철거하는 작업에 착수. 이재명 대통령 취임 두 달 만이며 2024년 윤석열 정부에서 대북확성기 방송이 재개 된지 약 1년 2개월 만의 철거. 앞서 대북확성기 방송을 6월 11일에 중단됐고 북한도 다음날부터 대남소음방송을 중단한 바 있어.
대북확성기 철거는 9.19 합의 복원을 공약으로 내세운 이재명 정부의 선제적 대북유화책이지만 북한과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점(통일부), 아직 북한이 아무런 공식 입장을 내놓이 않고 있으며 대남확성기 철거 움직임도 전혀 없다는 점은 아쉬운 지점. 야당인 국민의힘은 정부가 북한에 서둘러서 지나치게 저자세를 취하는 것이라고 지적 중.
한편 남북대화 재개를 기대하며 남북경협주는 상승세. 제이에스티나, 좋은사람들, 아난티 등 개성공단에 입주했거나 금강산 관광사업과 관련있는 회사들의 주가 상승하고 있어.
2.폭염속, 위험에 내몰리는 건설노동자들
2시간마다 20분 휴식? “팀장이 쉬자고 할 때 쉽니다” (한겨레21)
https://v.daum.net/v/20250805070436174
유난히 무더운 올 여름. 수시로 발표되는 폭염경보에도 야외 노동자들, 특히 건설현장의 안전수칙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어 건설노동자들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는 중.
연이은 폭염에 야외에서 일하는 건설노동자들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열사병 등 온열질환으로 산업재해 판정을 받은 노동자 중 건설업 종사자는 절반 이상. 근로복지공단이 작성한 온열질환 산업·업종별 산재 승인 현황을 보면, 2022년 사망 5건 포함 23건→2023년 사망 4건 포함 31건→2024년 사망 2건 포함 51건으로 해마다 증가. 같은 기간 전체 산업·업종 중 건설업 종사자의 온열질환 산재 승인 비중은 60.8%(사망 5건 포함 14건)→29%(9건)→49%(25건)로 나타나. 그러나 막상 산재 신청 및 승인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고. 햇빛에 달궈진 장비와 현장, 쉴 수 있는 실내 휴게실도 없어 최근 외국인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노동환경 개선, 노동시간 유연화를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 나오고 있지만 법적, 제도적 정비는 미비한 상황.
3.폭염에 아랑곳 않는 쿠팡의 노동환경
온도 낮추랬더니 ‘온도계’만 낮추는 쿠팡···농성 시작한 노동자들 (경향신문) https://v.daum.net/v/20250805060503589
열악한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노동자들. (사진: 연합뉴스)
휴게시간 돌려막기, 냉방기 설치 부족, 휴대전화 반입 금지 등 여름철에 더욱 열악한 노동환경 문제가 계속 지적된 쿠팡 노동자들이 결국 농성에 돌입. 현장 온도가 33도 이상이면 휴게시간을 부여해야 하는 원칙을 피하려고 쿠팡이 온도계 온도는 낮추는 꼼수를 쓴다는 것이 노동자들의 지적.
결국 공공운수노조는 지난 1일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 앞에서 ‘하루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모든 현장에 냉방시설을 설치하고 폭염 시 2시간 당 20분의 휴게시간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하며 무기한 농성 시작.
4.민주당 이춘석 법사위원장의 차명 주식거래
[속보] 정청래, 이춘석 ‘차명주식 거래’ 의혹 긴급 진상조사 지시 (중앙일보)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60014?cds=news_media_pc
보좌관 명의 차명 주식거래가 포착된 이춘석 법사위원장. (사진: 연합뉴스)
국회 본회의 중 보좌관 명의의 계좌로 주식거래를 한 이춘석 민주당 의원(국회 법사위원장) 에 대해 정청래 민주당대표가 당 윤리감찰단에 긴급 진상조사 지시.
이 의원은 오늘 본회의 중 고개를 숙인 채 휴대전화 화면으로 주가 상황을 체크하고 거래하는 모습이 ‘더팩트’ 카메라에 포착. 계좌의 주인은 이 의원의 보좌관 차모 보좌관. 주식은 약 1억원 어치로 파악되나 이춘석 의원의 공직자재산공개내역에 증권은 전무. 차명주식 거래는 금융실명제법 위반인데 국회 법사위원장이 이같이 법을 어기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반응.
대주주 과세 10억 기준 하향에 대한 주식투자자들의 반발, 강선우 의원의 보좌관 갑질, 진성준 전 정책위원장의 연이은 실책으로 여당 경제정책에 대한 국민 신뢰가 흔들리는 와중에 민주당 법사위원장의 차명 주식거래가 말이 되나요?
5.서울 콩국수 맛집 베스트 10은?
생크림 같은 국물... 서울 콩국수 맛집 ‘톱10′(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21168
여름이면 생각나는 고소하고 시원한 맛, 콩국수. 조선일보가 음식 전문가 10명에게 서울 콩국수 맛집 선정을 의뢰.
1위는 서울 서소문의 진주회관. 황태콩 콩물을 쓰는 진주회관은 압도적으로 꾸덕한 콩물과 중면의 탄탄한 식감이 매력. 2위는 삼성동의 맛자랑. 메밀면을 쓰는 곳으로 생크림같은 콩국물이 특징. 3위는 여의도의 진주집. 특별한 맛의 김치와 만두도 맛있는 곳.
콩국수 맛집. 서소문 진주회관 (사진: 중소벤처기업부)
1위 진주회관, 3위 진주집 모두 직장 근처에 있어서 자주 갔는데 맛있긴 합니다. 두 가게의 맛도 비슷해요. 인정.
이 기사에 7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생크림 같은 국물 콩국수... 생크림 같은 국물 콩국수... 생크림 같은 국물 콩국수... 생크림 같은 국물 콩국수... 생크림 같은 국물 콩국수... 생크림 같은 국물 콩국수...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번에 이슈를 살펴볼 수 있어서 참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이슈 모아 주시니 좋네용. 잘 읽었습니다.
걸어다니기만 해도 지치는데 햇빛을 그대로 받거나 장시간 쉬지 않고 노동하면 너무 힘들것 같아요 쿠팡 가끔 단기로 갔었는데 전 쉬운 일이라 괜찮았지만 넘 덥고 쉬지 못하고 일하던 기억은 있네요 다른 물류센터들이랑 어떤 차이가 나는지도 궁금해요 기사 잘 봤습니다
마지막 콩국수 뉴스가 앞의 뉴스를 다 잊게 만들었어요ㅋㅋㅋ 콩국수 먹고싶네요. 이춘석 콩가루처럼 까이길!
응급실 비용이 더 싸게 먹힌다는 얘기보다 작업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말을 듣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