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소통 부재' 울산 구단의 선택, 과연 최선이었을까?
  • 박주현
  • 등록 2025-08-02 07:49:22

기사수정
  • ▲ '경질 통보' 울산 김판곤 감독 "예의는 물론 행정적으로도 문제"(종합)
  • ▲ 울산 구단은 김판곤 감독과 상호합의 계약 해지 '공식 발표'

경질설에 휩싸인 울산 HD 김판곤 감독경질통보 받은 울산 HD 김판곤 감독 [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 HD 김판곤 감독이 결국 지휘봉을 내려놓았다. 공식전 10경기 연속 무승이라는 성적 부진의 늪에 빠진 팀의 분위기를 쇄신하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하지만 이번 감독 교체 과정에서 드러난 구단의 아마추어적인 행정 처리는 K리그 명문 구단으로서의 품격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특히 김 감독 본인이 언론 보도를 통해 자신의 경질 사실을 먼저 알게 되었다는 점은 축구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김 감독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어제 언론을 통해 나에 대한 경질 관련 기사가 나간 뒤에야 구단으로부터 경질과 관련된 통보를 받았다"며 "예의는 물론이고 행정적으로도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감독에게 최소한의 예우조차 갖추지 못한 울산 구단의 태도는 많은 축구팬들을 실망시켰다. 감독 경질은 구단에 중대한 결정이다. 그만큼 신중하고 예의를 갖춰 진행해야 마땅하다. 하지만 울산은 이 기본적인 절차마저 무시한 채 언론을 통해 먼저 소식을 흘려버렸다. 이는 구단 내부의 소통 부재는 물론, 김 감독에 대한 존중이 전혀 없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불명예 퇴진 김판곤, 그러나 '3연패' 위업은 지울 수 없어


김판곤 감독은 지난해 7월 울산의 지휘봉을 잡은 후 팀을 K리그1 3연패로 이끌었다. 당시 울산은 홍명보 감독의 국가대표팀 이탈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정규리그 4위까지 추락하며 위기에 놓여 있었다. 김 감독은 "1분을 배고파하는 선수를 좋아한다"는 말로 선수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며 팀을 재정비했고, 결국 34라운드 조기 우승이라는 기적을 일궈냈다. 불과 1년 만에 '무관'의 위기에서 팀을 구해내고 K리그1 3연패와 통산 5번째 우승이라는 위업을 달성한 것이다. 그의 지도력은 울산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2025시즌 들어 울산은 심각한 부진의 늪에 빠졌다. 시즌 초반 3연승으로 순조롭게 출발하는 듯했으나, 이후 연승 사냥에 번번이 실패하며 순위가 하락했다. 설상가상으로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월드컵 조별리그 3전 전패, 코리아컵 8강 탈락이라는 뼈아픈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K리그1에서도 6경기 연속 무승(3무 3패)을 기록하며 공식전 10경기 무승(3무 7패)의 절망적인 상황에 직면했다. 이로 인해 울산은 정규리그 7위로 밀려나 4연패는커녕 '파이널A' 진입마저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경질 촉매제' 서포터스 보이콧, 구단은 누구의 편이었나


울산의 추락이 계속되자 서포터스들은 김 감독의 퇴진을 요구하며 응원 보이콧을 선언했다. 지난달 30일 팀 K리그와 뉴캐슬 유나이티드의 쿠팡플레이 시리즈 경기에서는 관중석에서 "김판곤 나가"라는 구호까지 터져 나왔다. 축구계 소식통은 이 구호가 김 감독 경질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이번 사태에서 울산 구단이 보인 일련의 행태는 팬심에 과도하게 흔들렸다는 비판을 자초했다. 팬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은 중요하지만, 성적 부진의 모든 책임을 감독 한 사람에게만 돌리고 팬심에 휩쓸려 감독을 불명예스럽게 내쫓는 것은 구단의 장기적인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구단은 후임 감독으로 신태용 전 인도네시아 국가대표팀 감독을 염두에 두고 접촉했다는 소식까지 흘러나왔다. 이 모든 과정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김 감독은 구단으로부터 공식적인 통보를 받기도 전에 자신의 경질 소식을 접해야 하는 불쾌한 상황에 놓였다. 결과적으로 울산은 1일 "최근 성적 부진의 책임을 통감하며 구단과 논의 끝에 상호 합의로 계약을 해지했다"라고 발표했지만, 이는 이미 짜여진 수순이었음이 명백하다. 김 감독은 2일 수원FC와의 경기에서 마지막 지휘봉을 잡게 됐다. 서포터스들이 김 감독의 퇴진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치러질 고별전은 어색한 기류 속에 진행될 수밖에 없다. 팬들의 마음을 달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구단은 책임 있는 행정 처리를 통해 최소한의 예의와 품격을 지켰어야 했다.


서포터스를 향해 박수를 보내는 울산 HD 선수들서포터스를 향해 박수를 보내는 울산 HD 선수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고료 납부하기
관련기사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아페리레
웰컴퓨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협상 하루도 안돼 알려진 30분의 치욕 치욕의 청구서가 도착하고 하루가 지났다. 이제 양국 언론을 통해 그 ‘협상’의 후일담이 흘러나오고 있다. 가장 압축적인 묘사는 “펜도 필요 없었던 30분”이라는 트럼프의 만족감 섞인 회고일 것이다. 그 짧은 시간 동안 대한민국의 경제 주권 일부가 대서양 너머로 이전되었다. 시장의 평가는 즉각적이었고, 계산은 정확했...
  2. 버닝썬 비서관이 괜찮다면 페미니즘도 말하지 마라 이재명 대통령이 임명한 용산 대통령실 비서관 중에 과거 버닝썬 사건의 성범죄 가해자를 변호했던 변호사 출신 인물이 있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그것도 공직자의 규율과 기강을 바로잡고 비리를 감찰하는 ‘공직기강비서관’이라는 것은 더욱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2018년에 드러난 ‘버닝썬 게이트’는 우리 사회의 여성...
  3. [사설]어떤 간신이 광복절에 취임식을 '또'하라고 속삭였을까? '국민임명식' 이름 한번 기가 막히게 지었다. 이미 취임 선서를 하고 업무를 시작한 대통령이, 헌정사상 처음으로 두 달 만에 또 취임식을 한단다. 그것도 나라를 되찾은 광복절에, 광화문 광장에서, 1만 명을 모아놓고 말이다. 대통령실은 "국민이 대통령을 '나의 대통령으로 임명한다'고 선언하는 자리"라고 포장한다.하지만 이 .
  4. 이재명에 환호했던 어떤 변호사의 일기 : 이재명에게 실망이다. 보도블록시장 시절 보도블록 한 장까지도 챙긴다던 그 호기로운 이미지는 허상이었나? 아니면 고작 보도블록이나 챙기는 정도의 그릇이었나?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이라 자화자찬 했던 일은 갑자기 자기 밑에 직원이 자기 몰래 추진한거란다. 보도블록 챙기느라 바빴나? 도지사가 되어서도 자기가 손수 자리까지 만들어 ‘통일’부...
  5. 전병헌, 관세협상 두고 “자화자찬 아닌 자해, 조공 외교의 자화상” 이재명 정부가 최근 한·미 관세협상을 두고 “역대급 성과”라며 자화자찬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대표가 “오히려 자해에 가까운 셀프 풍자”라고 정면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과연 이재명 정부”라는 여권 내 찬양성 멘트를 거론하며, “이 정부의 본질을 정확히 드러내는 한마디”라...
  6. 이재명 측근 김진욱, 국제마피아파와 연루 의혹 속 총리실 임명 철회 이재명 정부 '보은 인사' 논란 가속... 김진욱 임명 철회에 '버닝썬 변호사' 임명까지 겹쳐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진욱 씨가 국무총리실 정무협력비서관으로 임명된다 7일 국무총리실은 밝혔었다. 정무협력비서관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고위공무원 ‘나’급(2급) 직위다. '일신상의 이유'로 하루 만에 자진 철..
  7. 김건희특검의 ‘윤석열 속옷 브리핑’ 유감 두 번째 수감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은 특검 수사와 내란 재판에 비협조로 일관하고 있다. 결국 김건희특검이 어제 오전 서울구치소를 찾아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을 시도했으나 윤 전 대통령의 불응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빈손으로 돌아가는 특검은 기자들 앞에서 윤 전 대통령이 "속옷 바람으로 누워 있었다"는 내용의 브리핑..
  8. 유능하다는 망상, 4천억 달러가 증명하는 친중의 대가 때로는 숫자가 가장 정직한 폭로다. 변명도, 수사도, 감성도 거세된 채, 냉혹한 진실의 뼈대만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 앞에 던져진 숫자들을 보라.일본의 경제규모는 대략 우리의 2.15 배다. 그들이 5,500억 달러를 낸 것을 우리 체급에 맞춰 단순 환산하면 약 2,000억에서 2500억 달러면 충분할 것이다. 유럽연합 30개국이 그나마 자신들...
  9. 이재명 '광복절 야간 임명식'에 전병헌, '대관식 하냐' 직격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8월 15일 광복절 저녁, '대통령 국민 임명식'을 열겠다고 밝히면서 정국이 요동치고 있다. 이미 두 달 전 국회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대통령 임기를 시작한 상황에서, 전례 없는 야간 행사를 강행하는 배경을 두고 야권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총공세를 폈다.새미래민주당 전병헌 대표는 ...
  10. [속보] 관세 25%→15%. 미국제품 무관세. 美농산물 트럭 완전개방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달러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미국이 한국과 무역 합의를 체결하기로 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2주 내로 .
후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