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8·22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했다.
탄핵찬성파이자 쇄신파의 대표 주자인 한 전 대표가 경쟁 대열에 합류하지 않기로 하면서 전대 구도는 출렁이게 됐다.
특히 친한(친한동훈)계의 표심 향배가 전대 판세에 영향을 줄 변수가 된다.
한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퇴행 세력들이 '극우의 스크럼'을 짠다면 우리는 '희망의 개혁연대'를 만들어 전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좋은 정치는 '윤어게인'이 아니라 보수가 다시 당당하고 자랑스러워지도록 바로 세우는 '보수어게인'"이라며 당 일각의 '극우화' 흐름을 비판했다.
한 전 대표는 최근 당 혁신위의 혁신안 좌초 기류와 '극우성향' 인사인 전한길씨의 입당을 둘러싼 당내 논란을 지켜보면서 당권을 잡아 쇄신을 주도하기보단 당 밖에서 당원과 개혁 성향 보수 인사들을 중심으로 '개혁연대'를 형성하기로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친한계 인사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금처럼 극우들끼리 모여 경쟁하고 전한길에 충성 경쟁하는 상황에서 전당대회가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친한계 표심을 흡수해야 하는 찬탄파 주자들의 셈법은 복잡해 보인다. 찬탄 내지 쇄신 진영을 아우를 단일 후보를 내야 하는지부터 입장이 갈린다.
계엄을 비판하며 탄핵에 찬성했던 조경태 의원은 당권 도전 의사를 밝힌 뒤 당을 극우화에서 막아낼 이른바 '혁신파' 후보 간 단일화를 제안한 상태다.
조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 혁신안과 윤희숙 혁신위원장 혁신안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는 후보가 혁신파"라며 100% 국민경선으로 후보 단일화를 하자고 주장했다.
반면 또 다른 찬탄파인 안철수 의원은 단일화 주장에 선을 긋고 있다.
안 의원은 조 의원의 단일화 제안에 대해 "결선투표가 진행되면 당원들이 알아서 어떤 사람이 혁신적인 후보 대표인지 판단해 표를 몰아주면서 단일화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전 대표의 불출마로 구심점을 잃은 친한계는 향후 행보를 고심 중이다.
한 친한계 의원은 "당장 누구를 강제로 미는 건 좋지 않고, 혁신 기치를 내건 후보들 간 자정 노력이나 단일화로 큰 틀이 잡히면 그때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장동혁 의원으로 대표되는 반탄(탄핵반대)파 주자들 사이에서도 미묘한 기류가 감지된다.
한 전 대표의 불출마로 전대의 화제성이 떨어지면 탄핵반대파 후보의 입장에서 오히려 흥행을 걱정해야 할 형편이 됐다는 반응이다.
이날까지 당 대표 출마를 공식 선언한 사람은 김 전 장관과 조 의원 및 장 의원, 주진우 의원 등 4명이다.
여기에 당 대표 출마 의사를 밝힌 안철수 의원과 장성민 전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양향자 전 의원까지 합세하면 최소 7명 이상의 다자 구도가 형성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