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친명 경쟁' 넘어선 '친중 외교' 자처하나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선거에 나선 정청래, 박찬대 후보가 첫 TV 토론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9월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을 한목소리로 주장하며 논란을 키웠다. 두 후보는 ‘국익을 위한 실용 외교’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그 이면에는 이재명 대표에 대한 맹목적인 ‘명심’ 경쟁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외교적 위상을 스스로 격하하려는 시도가 엿보인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당대표 선거에 나선 정청래, 박찬대 의원 (사진=연합뉴스)정청래 후보는 "박근혜 전 대통령도 참석한 행사"라며 "중국과의 외교 관계가 있어야 우리 물건을 수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찬대 후보 역시 "국익을 위해선 실용 외교가 필요하다"며 "경제적 측면에서 중국과 척질 이유가 없다"고 거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과거의 사례를 맹목적으로 답습하려는 태도이자,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대한민국의 전략적 선택지를 스스로 좁히는 우를 범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더군다나 트럼프 대통령은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한국의 이중적인 태도에 극도의 거부감을 수차례 피력하기도 했다.
중국은 오는 9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기념식에 이 대통령의 참석을 타진했고, 대통령실은 "한·중 간 관련 사안에 대해 소통 중"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놓은 상태다. 그러나 외교가에서는 이 대통령이 전승절 행사에 참석할 경우,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이 특정 진영에 치우치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특히 전승절 행사는 단순한 기념식을 넘어 중국의 군사력을 과시하고 서방 국가들을 견제하는 정치적 의도가 다분한 행사라는 점에서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민주당의 차기 당 대표는 다음 달 2일 확정된다. 그러나 이번 토론회에서 드러난 두 유력 후보의 대중(對中) 외교관은 민주당이 과연 대한민국의 국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지, 아니면 특정 세력의 입맛에 맞춰 외교 정책의 방향까지 재단하려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던진다. 맹목적인 친명 경쟁이 대한민국의 외교적 자율성과 국익을 훼손하는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민주당 스스로 성찰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