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여의도 보좌진 사회의 민심이 ‘부적격’으로 결집하고 있다. 전·현직 보좌진 1450여 명이 참여한 익명 단체 대화방에서 실시된 투표 결과, 응답자 559명 중 92.7%에 달하는 518명이 강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관이 되어선 안 된다’는 의견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한 것이다. 반면 후보직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41명, 7.3%에 불과했다.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강선우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이러한 싸늘한 여론의 배경에는 후보자의 ‘갑질’ 의혹과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태도가 자리 잡고 있다. 보좌진에게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와 변기 수리 등 사적 업무를 지시했다는 폭로가 나왔음에도, 강 후보자는 “가사 도우미가 있어 시킨 적 없다”고 부인했다. 그러나 분리수거를 지시하는 텔레그램 메시지가 공개되자 말을 바꿨다. 음식물 쓰레기 지시에 대해서는 “차에 남겨두고 내린 내 잘못”이라 변명했고, 변기 수리 논란은 “조언을 구한 것”이라고 둘러댔다. 이러한 해명은 오히려 보좌진들의 자괴감과 분노만 키웠다는 평가다.
5년간 보좌진을 46차례나 면직했다는 지적 역시 논란의 중심에 있다. 강 후보자는 동일 인물이 여러 직책을 거친 중복 사례를 제외하면 실제 교체 인원은 28명으로, 이는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보좌진 사회의 반응은 냉소적이다. 익명 커뮤니티에는 “28명이 통상적이라는 해명 자체가 놀랍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잦은 인력 교체는 그 자체로 리더십과 사무실 내 소통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방증하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