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질문 답하는 강선우 장관 후보자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강선우 씨가 ‘보좌진 갑질’ 의혹과 관련된 국회의 자료 제출 요구를 대부분 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정보’와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들었지만, 인사 검증의 핵심 쟁점인 의혹 해소에 사실상 ‘입을 닫은’ 셈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제기된 문제 제기에 강 후보자는 형식적 답변과 자료 미제출로 일관하며 인사청문회를 형해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국회는 국민권익위원회에 강 후보자 본인 및 배우자·직계존비속에 대한 부조리 피신고 내역, 진정서·탄원서 수리 현황 등을 요청했으나, 권익위는 "후보자 측이 개인정보 제공에 미동의했다"고 밝혔다. 감사원, 국가인권위원회 역시 후보자 관련 민원 접수·조사 내역을 제출하지 못했다. 이유는 같다. 강 후보자가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범수 의원(국민의힘)은 “기본 중의 기본 자료조차 거부하는 후보자는 자질 이전에 태도의 문제가 있다”며 “명백한 청문회 방해”라고 일갈했다. 특히 그는 강 후보자가 “자료 제출에 최선을 다했다”는 답변으로 개인정보 미동의 사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국민 앞에 떳떳하지 못한 인사임을 스스로 입증한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인사청문회의 쟁점 중 하나인 ‘갑질 의혹’은 단순한 사생활의 영역이 아니다. 공직자로서의 자질과 태도, 리더십의 윤리성을 따지는 핵심 사안이다. 그런 점에서 국민 알 권리와 국회의 검증 책임은 정당한 것이다. 그러나 강 후보자는 반복적으로 "사생활 보호"를 내세우며 정당한 검증을 차단하고 있다.
야권 의원들이 요구한 자료는 단순한 사적인 정보가 아니라 공적 업무 중 발생한 민원과 부조리 신고 관련 정보로,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들이 접수한 기록이다. 이를 개인의 사생활로 포장해 숨긴다면, 향후 고위 공직자 검증은 유명무실해질 수밖에 없다.
야당은 "강 후보자의 일관된 회피는 인사청문회를 무력화하려는 시도이며, 이는 청문 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라고 비판하고 있다. 실제로 강 후보자는 과거에도 보좌진과의 갈등, 인사문제 등으로 구설에 오른 바 있어, 이번 의혹이 단순한 정치공세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정면 대응을 피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개인정보 보호라는 명분 뒤에 숨은 회피 전략. 그 결과 국민은 여전히 ‘알지 못하는 장관 후보자’를 두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