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송언석 위원장의 발언을 들으며 생각에 잠겨 있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의원 시절, 본인이 매입한 땅에 혜택을 주는 법안을 직접 대표 발의하고 통과시키는 데 관여했다는 '이해충돌' 의혹이 제기되며 인사청문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이해충돌 의혹은 그가 국회의원 시절 경기도 연천군에 땅을 소유한 상태에서, 해당 지역에 혜택을 주는 법안 통과를 주도했다는 점에서 시작된다.
경기 북부(양주·동두천)를 지역구로 둔 다선 의원이자 연천 출신인 정 후보자는 연천군 중면에 개인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공교롭게도 그가 국토 개발 정책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던 제19대 국회 임기(2012-2016) 동안, 그의 토지 자산 신고 가액은
2013년 약 2,602만 원 ☞ 2015년 약 7,951만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정 후보자는 땅을 추가 매입한 지 단 6일 만에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 내용은 미군 기지 주변 지역의 개발부담금을 50% 감면해주는 것인데, 묘하게 정 후보자가 산 땅 바로 옆에 미군 기지가 있어, 법안이 통과되면 본인 땅이 직접적인 혜택을 받는 구조이다.
정 후보자는 여러 관련 법안을 통합 심사하는 국토교통위원회 법안심사소위의 소위원장까지 맡았다.
결국 자신이 발의한 내용이 포함된 통합 개정안이 2015년 7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고, 후보자의 땅이 있는 연천군 중면은 개발부담금 50% 감면 혜택을 받게 됐다.
정성호의 해명은?
정 후보자 측은 "경기북부 낙후 지역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며, 소유한 땅은 "통일이 안 되는 한 개발 가능성은 거의 없고 법안과도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러한 해명은 연천군의 공식 계획과 배치된다.
2024년 1월 공고된 '2030년 연천 군기본계획'은 정 후보자의 토지가 있는 중면 일대를 '북부생활권'으로 묶어 '관광·휴양 및 남북교류의 거점'으로 개발하겠다고 명시했다. 2015년의 법 개정이 개발 비용 부담을 낮춰, 이러한 장기 개발 계획이 실현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한 셈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의혹의 핵심은 이해충돌이다.
공직자가 직무수행 중 알게 된 정보를 이용해 사적 이익을 추구하거나, 본인의 직무가 개인의 이해관계와 얽히는 상황을 말한다.
정 후보자의 경우, ▲접경지역 토지 매입 ▲해당 지역 개발 부담을 덜어주는 법안 발의 ▲법안 심사 및 통과 과정 주도라는 세 가지 행위가 맞물려 이해충돌 논란을 낳았다.
비록 해당 행위가 현행 '이해충돌방지법'(2022년 시행) 이전의 일이지만, 당시 국회의원 윤리강령이나 일반적인 국민 법 감정에는 위배될 소지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기사에 6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징글징글 하네 내려와!!!
아니, 왜 김건희는 물고 늘어진 거래요?
내로남불 전문당이네.
정성호, 조현은 김건희처럼 땅 투기해.
김건희 주가조작했다더니 정은경은 이해충돌 주식 투자해. 뭐가 다른 거임?
국민들 상대로 대출 모조리 막고 부동산 투자는 끝이라더니 자기들은 뭘하고 있는거죠?
지들은 다 아니래 ㅈㄴ뻔뻔
참 대단히 뻔뻔하네요
장관되는 걸 막을 수 없더라도 깨끗한 척 하면서 내란종식같은 헛소리 하는 것들 최대한 흠집내서 흔들어놔야 할텐데요~~
오늘도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