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 국무장관 방한 전격 취소
[단독] 루비오 미 국무장관, 방한 닷새 앞두고 취소…이재명 정부 첫 美 고위급 방한 무산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447042?lfrom=twitter
방한 예정이었던 루비오 미 국무장관. (사진: 연합뉴스)
8일 방한 예정이었던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의 방한이 닷새 앞두고 전격 취소. 당초 루비오 장관은 오는 1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참석차 오는 8일 한국과 일본을 연이어 방문한다는 계획이었으나 말레이시아로 바로 가게 되었다고 3일 오전 한국측에 통보. 대통령실 관계자는 루비오 장관의 방한 취소에 대해 "미국 내부사정으로 가까운 시일에 이뤄지긴 어렵다." 고 말했다.
정부는 이달 말로 추진 중인 첫 한미정상회담 일정을 루비오 장관과 논의하려 했는데 무산된 셈. 정상급 외교일정에서 닷새 전 일정취소 통보는 이례적인 일. 미국 보수언론과 공화당 측 인사들로부터 현정부에 불안한 메시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 일정취소가 정치적 메시지인지 우려되는 상황.
2. 한편 중국은, 전승절 초청 수락도 안 했는데 벌써 환영
대통령실, '李 전승절 초청'에 "양국 소통 중"…中 벌써부터 "환영한다"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8523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8523
한편, 전승절 행사에 이재명 대통령을 초청한 중국 측은 벌써부터 환영한다는 입장. 주한 중국 대사관은 중앙일보에 "올해는 항일전쟁 및 반(反)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이자 한반도 광복 80주년으로 중·한 양국 모두에게 중요하고 특별한 의미가 있는 해"라며 "중·한 양국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침략에 맞서 싸우며 제2차 세계대전 승리에 중요한 기여를 했고 그 역사에 대해 특별한 감정과 기억을 함께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직 참석한다고 결정한 것도 아닌데 환영메시지라니?
3. 돌아온 부시맨브래드와 죽음의공장 SPC
"이것 먹으러 갔었는데"…다시 돌아온 메뉴에 ‘환호’(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214944?cds=news_media_pc
한동안 중단됐던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의 ‘부시맨브레드’ 제공이 재개됐다는 소식. 아웃백 운영사 다이닝브랜드그룹 관계자는 “전날(7월 1일)부터 전국 매장에 부시맨 브레드 공급이 다시 시작됐다"고 전했다고. 부시맨브레드는 아웃백 메뉴 주문시 제공되는 빵으로 아웃백 팬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메뉴.
'죽음의 공장'이라는 비판과 불매운동에도 개선의 여지가 없는 SPC. (사진: 연합뉴스)
부시맨브레드 공급이 중단된 이유는 제조사인 SPC삽립의 시화 공장에서 일어난 노동자 사망사고로 인한 것. 올해 5월 시화 공장에서 50대 여성노동자가 교반기에 상반신이 끼어 사망한 사고가 일어났다. 평택 SPL 제빵공장에서도 2022년 10월 20대 노동자가 소스 교반기에 끼어 숨졌으며, 성남 샤니 제빵공장에서도 2023년 8월 50대 노동자가 반죽 기계에 끼어 사망했다.(관련기사: ‘죽음의 공장 SPC…’(미디어오늘)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6549)
SPC는 ‘죽음의 공장’ 이라 불릴 정도로 인명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있지만 국회와 시민단체의 노동환경 개선 요구와 수년간의 불매운동에도 아랑곳 않고 언론플레이만 열중하고 있다. 부시맨브레드를 반가워 하기 어려운 이유다.
4. 대통령 ‘친인척 비위 감시’를 하겠다고요?
[속보]이 대통령, ‘친인척 비위 감시’ 특별감찰관 임명 지시(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507030945001
'나부터 감시받겠다'는 이재명 대통령. (사진: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주 수보회의에서 ‘나부터 감시받겠다’ 며 ‘대통령 친인척 비위 감시’ 를 위한 특별감찰관을 임명하라고 지시했다는 소식이 주요 언론 속보로 전해짐. 임명된다면 박근혜정부 시절 이석수 특감 이후 9년 만에 다시 임명되는 것. 문재인정부 때는 공수처 신설을 추진했었고 이석수 특감 사퇴와 탄핵으로 제도 효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는 이유, 국회 추천의 어려움 등으로 임명하지 않았고 대신 민정수석실이 친인척 특감의 역할을 대신했다. 이 대통령의 특감 임명 지시에 대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본인 재판부터 받으세요.”
5.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회견 ‘말말말’
이 대통령 "인사 최선 다했지만 기대 못 미친 면도…한쪽만 쓰면 위험"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340773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을 연 이 대통령의 말 중 특별히 인상깊은(?) 대목들.
"마음에 드는, 색깔이 같은 쪽만 쭉 쓰면 위험하다. 시멘트, 자갈, 모래, 물 이런 것을 섞어야 콘크리트가 된다. 차이는 불편한 것이기도 하지만 시너지의 원천"
"성향이 다르다, 누구와 관련이 있다, 누구와 친하다더라 이런 것으로 판단해서 배제하기 시작하면 남는 것이 없다"며 "이것이 어쩌면 정치 보복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
"우리는 모두 국민의 뜻을 대변하는 대리인들이기 때문에 굳이 사감(사적 감정)을 가질 필요가 없다”
논평 생략.
6. 한없이 답답한 고 이예람 중사 사건 재판 경과
'故이예람 사건 허위보고' 군 대대장 대법 판단은…1·2심 무죄(뉴시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339961
고인의 유골함을 어루만지는 유족. (사진: 연합뉴스)
공군 제20전투비행단 소속이었던 이예람 중사가 2021년 3월 선임 장모 중사로부터 성추행을 당한 뒤 군검찰이 사건을 수사하던 같은 해 5월에 자살한 사건.
안미영 특검팀은 2022년 9월 군내 부실수사가 있었다고 보고 전익수 전 공군 법무실장 등 8명을 기소하고 김모 전 대대장을 직무유기와 허위보고 혐의로 기소했으나 김 전 대대장은 1·2심에 이어 대법원에서도 무죄가 확정됐다. 재판부는 김 전 대대장이 2차 가해 방지 조치를 일부러 방임했다고 보기 어렵고, 허위보고의 고의성도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함께 기소된 김 전 중대장과 박 전 군검사는 1심 실형에서 2심에서 각각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으로 감형됐고, 이 판결이 확정됐다. 박 전 군검사는 피해자 심리 악화와 2차 가해를 알면서도 수사를 소홀히 한 직무유기 혐의가 인정됐다.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면 비극은 계속될텐데. 세상을 떠난 피해자의 한은 어떻게 풀어야 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