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 합동연설회 찾은 전한길 (대구=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전당대회 합동연설회에서 소란을 일으킨 전한길 씨에 대한 제명 조치를 추진하며 당내 분란을 잠재우기 위해 칼을 빼 들었다. 지난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에서 '찬탄(탄핵 찬성)파' 후보를 향해 '배신자' 구호를 외치도록 선동한 전 씨의 행위가 해당 행위로 판단된 것이다.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11일 회의를 열고 전 씨에 대한 징계 수위를 논의했으며, 사안의 엄중함을 고려해 이르면 이날 중으로 제명 조치를 단행할 방침이다. 이는 12일부터 연이어 열리는 권역별 합동연설회에 앞서 당내 혼란을 조기에 수습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전 씨는 지난 8일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에서 자칭 '전한길뉴스' 발행인 자격으로 입장해 특정 후보를 향한 비난 구호를 유도하며 전당대회 분위기를 흐렸다. 이에 당 지도부는 즉시 전 씨의 향후 전대 행사 출입을 금지하고 징계 절차에 착수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전 씨는 방청석 연단에 올라 집단적인 야유와 고함을 공공연히 선동했다는 점에서 죄질이 매우 엄중하다"며 윤리위의 신속한 결정을 촉구했다. 김대식 비대위원 역시 "당에 해를 끼치고 앞으로 우리 당이 나아갈 방향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하면 징계뿐만 아니라 출당 조치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발언하는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늦장 대응 비판과 재발 우려
그러나 전 씨의 제명 조치에도 불구하고 당내에서는 뒤늦은 대응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전 씨의 입당 사실이 알려졌을 때부터 당내 갈등을 유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컸지만, 당 지도부는 과거 발언만으로는 징계 명분이 부족하다며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한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은 "책임 당원도 아닌 사람이 전대의 모든 관심을 끌어가는 것 자체가 이 당이 엉망진창이라는 방증"이라며 지도부의 무능을 꼬집었다. 그는 "지도부가 전 씨를 과거 발언으로 처벌하겠다고 해놓고 서울시당으로 넘겨 질질 끌다가 결국 이런 사태를 맞은 것"이라고 비판하며 늦장 대응이 사태를 키웠음을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전 씨가 징계 조치에도 불구하고 추가 소동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전 씨는 이미 12일 부산·울산·경남 합동연설회에도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전당대회장 인근에서 하는 건 그 분의 자유"라며 "막는 것 자체가 불법"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전 씨가 전대 출입이 금지되더라도 장외에서 유튜브 방송 등을 통해 또다시 당내 갈등을 조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이번 제명 조치가 당내 분란을 완전히 잠재우기보다는 '전한길 리스크'가 장외로 옮겨가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